📑 목차
Geert Wilders

사진 속 인물은 네덜란드의 극우 정당인 Partij voor de Vrijheid (PVV)(자유당)을 이끄는 Geert Wilders입니다.
아래에 이번 네덜란드 하원(국회의원) 선거의 배경과 주요 쟁점, Wilders의 입지 및 이번 선거가 가지는 의미를 정리해 드릴게요.
1. 선거 개요
네덜란드에서는 이번에 하원(House of Representatives (Netherlands), 네덜란드어 “Tweede Kamer”)의 전 150석을 놓고 선거가 치러집니다.
이날은 2025년 10월 29일로 예정되어 있으며, 사실상 조기선거(스냅 선거) 형태입니다.
그간 연정(구 정부)이 붕괴된 뒤 치러지는 선거로, 정치적 불안정이 반영된 상황입니다.
2. Wilders와 그의 정당의 입지
Geert Wilders는 PVV의 창당자이자 리더이며, 반(反)이민·반이슬람 메시지를 중심으로 활동해 왔습니다.
2023년 선거에서 그의 정당 PVV가 의석을 크게 확보하면서 네덜란드 정계에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다만, 그의 정당이 단독으로 과반을 점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연정 구성이 이번 선거의 핵심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3. 주요 쟁점
이민 및 망명 정책: Wilders 및 PVV는 이민 억제, 망명 금지 강화, 비서구 이민자 축소 등의 강경한 입장을 내세우고 있고, 이 주제가 선거에서 매우 핫한 쟁점입니다.
정부 안정성 & 연정 구성: 네덜란드는 여러 정당이 존재하고 proportional representation(비례대표제) 기반이라 연정이 필수인데, Wilders가 이끄는 정당은 다른 주요 정당들과의 제휴 가능성이 낮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사회 및 경제 이슈: 주택 부족, 렌트비 상승, 복지·의료 비용 증가 등이 유권자에게 중요한 이슈로 부상했습니다. 선거 캠페인에서 Wilders 측도 이런 경제·생활 쟁점들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4. 이번 선거의 의미
만약 PVV가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할 경우라도 연정을 구성하지 못하면 실질적인 집권이 어렵습니다. 이로 인해 이번 선거는 단순히 ‘누가 1등이 되느냐’가 아니라 ‘누가 연정을 이뤄서 정부를 이끌 수 있느냐’가 핵심입니다.
또한, 유럽 및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내에서 네덜란드의 외교·안보 입지가 이번 선거 결과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네덜란드 내부적으로는 정치 불안정의 연속이 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권자의 표심이 극우쪽으로 기울면서도 연정 구성의 실질적 가능성이 낮음에 따라 ‘잠재적 교착상태’ 우려가 존재합니다.
극우 정당으로 불리는 이유는 뭘까요?
네덜란드의 Geert Wilders(헤이르트 빌더르스) 가 이끄는 PVV (Partij voor de Vrijheid, 자유당)가 흔히 “극우정당(far-right party)” 으로 분류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정치적 입장과 발언, 정책 노선 때문입니다 👇
1. 반(反) 이슬람·반(反) 이민 노선
Wilders는 2000년대 초부터 “이슬람은 폭력적 이데올로기”, “코란은 나치 서적과 같다” 등의 발언을 수차례 했습니다.
그는 모스크 건축 금지, 이슬람 학교 폐쇄, 히잡(머리 스카프) 착용 금지 같은 정책을 공개적으로 주장했습니다.
2014년에는 “모로코인 수를 줄이겠느냐?”는 선동성 발언을 하여 법정에 서기도 했습니다.
이런 강경한 반이민·반이슬람 기조 때문에 국제사회와 네덜란드 내 다수 정당들은 PVV를 극우(extreemrechts) 로 분류합니다.
2. 네덜란드 중심의 민족주의 (네덜란드 우선주의)
PVV는 “Nederland eerst” (네덜란드 우선) 슬로건을 내세우며,
EU의 통합 정책이나 난민 할당제에 강하게 반대합니다.
그는 네덜란드가 유럽연합(EU)을 탈퇴해야 한다는 “Nexit” 주장도 여러 차례 했습니다.
외국인 복지 수급 제한, 이민자에 대한 사회보장 축소 등 자국민 우선 정책을 강조합니다.
이는 국제 협력보다는 국수주의적 방향으로 평가되어 ‘극우적’으로 분류됩니다.
3. 권위주의적 법질서 강조
범죄나 테러에 대해서는 사형제 부활, 형벌 강화, 경찰 권한 확대 등을 주장합니다.
표현의 자유를 내세우지만, 동시에 “이슬람 비판은 자유지만 이슬람은 금지해야 한다”는 모순적 입장을 취해
자유민주주의 가치와 충돌한다는 비판을 받습니다.
4. 정치적 고립과 연정 거부
다른 네덜란드 주요 정당(예: VVD, GroenLinks, PvdA 등)은
PVV를 “협력 불가 정당”으로 분류해 연정을 피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PVV가 가진 인종·종교 차별적 발언과
EU·민주주의 제도에 대한 불신 때문입니다.
5. 그럼에도 불구하고…
PVV는 단순히 극우라고만 보기 어려운 면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복지 확대나 노인연금 보호 등 일부 좌파적 복지정책도 병행해
“경제적 포퓰리즘 + 문화적 극우” 형태로 평가되기도 합니다.
즉, 이민·문화 문제에서는 극우,
복지·생활 문제에서는 포퓰리즘(대중영합주의) 성향을 보이는 정당입니다.
PVV의 입장을 요약하면.
이민/난민 강력한 반대 극우
이슬람 종교로서 금지 주장 극우
EU통합 반대, Nexit 주장 민족주의/극우
복지정책 네덜란드인 중심 복지 강화 포퓰리즘
외교노선 반이슬람권, 친이스라엘 극우보수
네덜란드 정치에서 PVV(Partij voor de Vrijheid, 자유당) 와 경쟁하는 주요 정당들은 몇 가지가 있습니다.
PVV는 헤이르트 빌더르스(Geert Wilders) 가 이끄는 극우·포퓰리즘 성향의 반이민 정당으로, 최근(2024~2025년) 총선에서 매우 강한 성적을 거두며 1당이 되었습니다.
이에 맞서거나 연합 가능성을 논의 중인 정당들을 아래처럼 정리할 수 있습니다 👇
1. VVD (Volkspartij voor Vrijheid en Democratie)
- 성향: 중도우파, 자유주의, 친기업
- 대표 인물: 전 총리 마르크 뤼터(Mark Rutte), 현재는 딜란 예실괴즈(Dilan Yeşilgöz)
- 특징:
- 경제적으로 자유시장 지향, 세금 완화, 안보 강화
- 과거에는 PVV와 연정한 적 있음 (2010~2012년)
- 그러나 이민·EU 이슈에서는 PVV보다 훨씬 온건함
- 경쟁 이유:
- 두 정당 모두 우파 표심(특히 이민·안보 이슈) 을 노리며 겹치는 유권층이 많음
2. NSC (Nieuw Sociaal Contract)
- 성향: 중도, 보수적 개혁주의
- 대표 인물: 피터 옴츠히흐트 (Pieter Omtzigt)
- 특징:
- 전 CDA(기독민주당) 출신의 인기 정치인이 만든 신당
- 부패 척결, 정부 투명성, 복지 개혁 강조
- PVV처럼 엘리트 정치에 대한 불신을 비슷하게 이용하지만, 인종·이민 혐오는 배제
- 경쟁 이유:
- 둘 다 “기성 정치에 실망한 중도·보수층”의 표를 두고 경쟁
3. GroenLinks–PvdA (녹색좌파–노동당 연합)
- 성향: 중도좌파 ~ 진보좌파
- 대표 인물: 프란스 팀머만스 (Frans Timmermans, 전 EU 집행위원 부위원장)
- 특징:
- 환경, 복지, 사회적 평등, 유럽 통합 강화
- PVV와는 거의 모든 정책에서 정반대
- 경쟁이라기보다는 ‘이념적 대립축’ 으로, PVV의 반대편 세력을 대표
4. BBB (BoerBurgerBeweging, 농민시민운동)
- 성향: 농민 중심의 포퓰리즘 우파
- 대표 인물: 캐롤라인 반 더 플라스 (Caroline van der Plas)
- 특징:
- 농업 규제 완화, 환경규제 반대, 지방 중심주의
- PVV처럼 엘리트 비판과 일반 시민 대변을 주장하지만, 주 관심사는 농민 문제
- 경쟁 이유:
- 시골 및 농촌 보수층을 두고 PVV와 표심이 겹침
요약 비교표
정당 성향 주요 이슈 PVV와 관계
| VVD | 중도우파 | 경제·안보 | 같은 우파 표심 경쟁 |
| NSC | 중도보수 | 정부개혁 | 실망한 중도층 표 경쟁 |
| GroenLinks–PvdA | 좌파 | 환경·복지·인권 | 이념적으로 정반대 |
| BBB | 우파 포퓰리즘 | 농업·지방 | 농촌 표심 경쟁 |
📊 정치 지형 한 줄 요약:
PVV는 네덜란드의 “극우 포퓰리즘” 대표로,
VVD(전통 우파), NSC(중도보수 신당), BBB(농민 중심 포퓰리즘)과
실제로 표심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GroenLinks–PvdA는 정반대 진영의 이념적 대항마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선택지가 적은 우리나라나 미국등과 달리 네덜란드는 선택지가 다양하네요.
'국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스페인 디지털 노마드 비자 신청 조건과 세금 혜택 완벽 정리 (0) | 2025.10.30 |
|---|---|
| 그리스와 크로아티아, 어디가 더 노마드 친화적일까? (0) | 2025.10.30 |
| 발트3국(에스토니아·라트비아·리투아니아)의 디지털 노마드 정책 비교 (0) | 2025.10.30 |
| 유럽에서 가장 쉬운 디지털 노마드 비자 TOP5. (0) | 2025.10.30 |
| 2025년 디지털 노마드 비자란? 전 세계 정책 한눈에 보기 (0) | 2025.10.29 |